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Gen.G 원딜러 Ruler(박재혁) - 원딜의 정석, 한타의 왕 1티어 선수에 대하여

by hysub0611 2025. 2. 9.

 

원딜러의 정석, 궁수 챔피언은 룰러 선수를 대표합니다.
원딜러의 정수, 바루스와 같은 궁수

 

Ruler(박재혁)는 **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가장 크리티컬한 원딜러 중 한 명**이야. 2016년 Samsung Galaxy(이하 SSG)에서 프로 데뷔한 이후, Fake(이상혁) 선수와의 결전에서 2017 롤드컵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의 이름을 세계에 알렸지.

Ruler의 가장 큰 강점은 **라인전, 한타 포지셔닝, 그리고 순간적인 슈퍼 플레이**야. 특히 한타 때 최적의 자리에서 최대한의 딜을 뽑아내는 능력은 원딜 교과서라고 불릴 정도지.

그는 2022년까지 Gen.G에서 활약하며 LCK 최고의 원딜로 인정받았고, 이후 2023년 LPL JD Gaming(이하 JDG)으로 이적해, 그리고 24년에Ruler(박재혁)는 **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가장 크리티컬한 원딜러 중 한 명**이야. 2016년 Samsung Galaxy(이하 SSG)에서 프로 데뷔한 이후, Fake(이상혁) 선수와의 결전에서 2017 롤드컵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의 이름을 세계에 알렸지.

 

Ruler의 가장 큰 강점은 **라인전, 한타 포지셔닝, 그리고 순간적인 슈퍼 플레이**야. 특히 한타 때 최적의 자리에서 최대한의 딜을 뽑아내는 능력은 원딜 교과서라고 불릴 정도지.

 

그는 2022년까지 Gen.G에서 활약하며 LCK 최고의 원딜로 인정받았고, 이후 2023년 LPL JD Gaming(이하 JDG)으로 이적해, 그리고 24년부터 다시 친정팀 Gen.G 로 복귀, Chovy 선수와 함께 다시 한 번 롤드컵을 노리고 있어.

2. Ruler의 주력 챔피언 TOP 5

  • 바루스 - 2017 롤드컵 결승 5세트 당시 그의 시그니처 픽. ‘슈퍼 점멸 궁’ 장면은 아직도 전설로 남아 있음.
  • 징크스 - 후반 캐리력 최강, 왕귀챔피언. ‘그냥 게임을 끝내버리는 원딜’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님.
  • 애쉬 - Gen.G 시절, 적절한 슬로우와 지속딜을 활용하여 한타를 조율하는 픽으로 자주 사용.
  • 루시안 - 라인전에서 치고 빠질 수 있는 강력한 압박을 넣을 때 선호하는 픽.
  • 자야 - 한타 때 생존력이 뛰어나고, 카운터픽으로 많이 선택.

3. 프로게이머 데뷔 전후의 수상 경력

  • 2017년 롤드컵 우승 - SSG의 원딜러로 활약하며 롤드컵 우승 트로피 획득.(SKT T1과의 결승전)
  • 2022년 LCK 서머 우승 - Gen.G를 이끌며 첫 LCK 우승 달성.(Gen.G의 LCK 재패의 시작)
  • 2023년 LPL 스프링 & 서머 우승 - JDG 소속으로 LPL 더블 우승.
  • 2023년 MSI 준우승 - 국제 대회에서도 꾸준한 퍼포먼스를 보여줌.(골든로드까지 단 한걸음)

4. Ruler의 프로 데뷔 후 최고의 플레이 TOP 3

  1. 2017 롤드컵 결승 - SSG vs. SKT
    바루스로 슈퍼 점멸 궁극기를 사용해 경기를 뒤집은 명장면.
  2. 2022 LCK 서머 결승 - Gen.G vs. T1
    징크스로 한타를 완전히 터뜨리며 LCK 우승을 이끈 경기.
  3. 2023 LPL 스프링 결승 - JDG vs. BLG
    애쉬로 한타를 조율하며 JDG의 우승을 확정지은 경기.

5. Ruler의 대표 챔피언 3가지 & 추천 아이템 트리

  • 카이사 - 암살형 원딜 & 돌진 플레이
    **추천 아이템:** 크라켄 학살자, 나보리 신속검, 공허의 지팡이
  • 징크스 - 후반 캐리형 원딜
    **추천 아이템:** 돌풍, 무한의 대검, 도미닉 경의 인사
  • 애쉬 - 한타 설계형 원딜
    **추천 아이템:** 돌풍, 루난의 허리케인, 몰락한 왕의 검

결론

Ruler는 **세체원이라는 최고 수준의 한타 포지셔닝을 자랑하는 원딜러**야. LCK와 LPL을 모두 경험하며 국제 무대에서도 꾸준히 활약했고 다시 한국으로 복귀했어. 나는 내 지인에게 꼭 "원딜의 정석을 보고 싶다면? Ruler의 플레이를 보면 된다." 고 말하고 싶어. 이 말이 그를 가장 잘 설명하지 않을까?